으로 끝나는 세 글자의 단어: 57개

한 글자:1개 두 글자:98개 🍕세 글자: 57개 네 글자:250개 다섯 글자:53개 여섯 글자 이상:366개 모든 글자:825개

  • 해삭 : (1)산수화 준법의 하나. 새끼줄이나 밧줄을 풀어 놓은 듯이 고불고불하게 그리는 기법이다.
  • 박태 : (1)작곡가(1900~1986). 평양 숭실 전문 음대 교수, 연세대 음악 대학장 등을 지냈으며, 1960년 이후에는 교회 음악 협회장, 음악가 협회 이사장 등을 지냈다. 작품에 <오빠 생각>, <사우(思友)>, <햇볕은 쨍쨍>, <새 나라의 어린이> 외에 150곡이 있다.
  • 밀 표 : (1)미국 국방부에서 군용 규격 하드웨어의 환경 조건에 관하여 제정한 규격. 일반 규격보다 내구성이나 정밀도에 관한 규격이 엄격하다.
  • 장덕 : (1)언론인(1891~1920). 호는 추송(秋松). 김성수, 이상협과 함께 ≪동아일보≫를 창간하였다. 일본군이 한국인을 대량 학살한 훈춘(琿春) 사건을 취재하러 만주로 갔다가 행방불명되었다.
  • 주이 : (1)중국 청나라의 문인ㆍ고증학자(1629~1709). 자는 석창(錫鬯). 호는 죽타(竹垞). 시(詩)ㆍ사(詞)ㆍ산곡(散曲)에 뛰어났으며 ≪명사(明史)≫의 편집에 참여하였다. 저서에 ≪폭서정집(曝書亭集)≫, ≪일하구문(日下舊聞)≫, ≪경의고(經義考)≫ 따위가 있다.
  • 한성 : (1)조선 시대의 명고수(名鼓手)(1875~1941). 조선 성악 연구회 창립자의 한 사람으로 명창과 고수를 많이 길러 내었으며, 만년에 민속무에 전념하여 그 체계를 세웠다. 특히 학춤으로 유명하였다.
  • 수직 : (1)산수화 준법의 하나. 수직으로 시원하게 내려 긋는 예리하고 강한 선을 사용하는 동양화 기법으로, 뾰족한 돌산을 그릴 때 주로 사용한다. 조선 후기에 정선(鄭敾)의 진경산수화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준법이다.
  • 대영 : (1)발해의 왕자(?~?). 언제 당나라로 들어갔는지 알 수 없으나 숙위로 머물다가 774년에 귀국하였다.
  • 겨눔 : (1)뱃길 표지의 하나. 강가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2~4개의 표지판을 설치하며, 표지판이 겹쳐 보이도록 배를 조종하면 곧바로 가게 된다.
  • 안방 : (1)조선 중기의 학자(1573~1654). 자는 사언(士彦). 호는 은봉(隱峯)ㆍ우산(牛山). 임진왜란, 정묘호란, 병자호란 따위의 국난 때에 의병을 일으켰으며, 성리학에 밝았다.
  • 직찰 : (1)산수화 준법의 하나. 직각으로 세운 붓을 비비듯이 마찰시키며 그리는 동양화 기법이다.
  • 송병 : (1)조선 고종 때의 친일 정치가(1858~1925). 이용구 등과 일진회를 조직하였고, 농상공부대신ㆍ내부대신을 지내면서 조선과 일본의 합방을 주장하였다.
  • 달의 : (1)아뢴 대로 허가한다는 뜻을 이르던 말. 신하가 아뢰는 것을 ‘달(達)’이라고 하고 왕세자가 그대로 허가하는 것을 ‘의준’이라고 하며, 주로 왕세자가 대리할 때에 행해졌다.
  • 비표 : (1)표준이 아닌 것.
  • 김석 : (1)구한말의 문신ㆍ서예가(1831~1915). 자는 희보(姬保). 호는 소당(小棠)ㆍ묵지도인(墨指道人)ㆍ효리재(孝里齋)ㆍ연백당(硏白堂). 벼슬은 첨지중추부사에 이르렀고, 많은 회인시(懷人詩)를 남겼다. 북조풍(北朝風)의 예서(隷書)와 지두서(指頭書)에도 능하였다.
  • 하엽 : (1)회화에서, 산봉우리나 바위 주름의 형태를 연꽃 잎새의 줄기와 같은 모양으로 나타내는 방법.
  • 백낙 : (1)교육가ㆍ종교가ㆍ정치가(1895~1985). 호는 용재(庸齎). 연희 대학 총장, 와이엠시에이(YMCA) 재단 이사장, 대한 교육 연합회 회장, 문교부 장관, 참의원 의장, 학술원 원로 회원을 지냈다. 저서에 ≪한국 교육과 민족 현실≫, ≪한국 개신교사≫ 따위가 있다.
  • 박영 : (1)소설가(1911~1976). 호는 만우(晩牛)ㆍ서령(西嶺). 1934년에 단편 <모범 경작생>으로 등단하였으며 농촌을 소재로 한 소설을 많이 썼다. 작품집에 ≪목화씨 뿌릴 때≫, ≪그늘진 꽃밭≫, ≪방관자≫ 따위가 있다.
  • 탁발 : (1)중국 북위(北魏)의 제5대 황제인 ‘문성제’의 본명.
  • 부벽 : (1)산수화 준법의 하나. 도끼로 나무를 찍었을 때 생긴 면처럼, 수직의 단층이 부서진 나무의 결이나 바위의 입체감을 표현하는 기법이다. 중국 남송의 이당이 완성하고 마하파(馬夏派)가 주로 사용하였다.
  • 난마 : (1)산수화를 그릴 때 쓰는 준법의 하나. 불규칙하게 침식된 산과 바위를 얽힌 마 줄기처럼 그리는 동양화 기법이다.
  • 임원 : (1)조선 전기의 문신ㆍ의학자(1423~1500). 자는 자심(子深). 호는 사우당(四友堂). 경사(經史)에 밝고 문장이 뛰어났으며, 특히 의학에 정통하였다. 저서에 ≪창진집(瘡疹集)≫이 있다.
  • 색표 : (1)비색용(比色用) 빛깔 표준으로 쓰기 위해서 화학 조성과 농도가 일정하게 만든 착색 용액. 농도를 알 수 없는 시료의 광학적 분석에 쓰인다.
  • 대명 : (1)발해의 왕자(?~?). 832년과 837년 당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 지마 : (1)산수화를 그릴 때 사용하는 준법의 하나. 세로로 긴 타원형의 붓 자국을 밀집시켜 바위나 산을 묘사한다.
  • 마아 : (1)말 어금니 모양의 산을 그리는 산수화 준법의 하나. 각진 수직의 암벽을 그릴 때 많이 사용한다.
  • 남해 : (1)조선 시대의 학자(1598~1667). 자는 효재(孝哉). 호는 신촌(新村). 진(秦)나라ㆍ한(漢)나라 때의 고문을 탐독하여 학문이 넓기로 유명하였다.
  • 오조 : (1)총이나 포 따위를 잘못 겨냥함.
  • 유길 : (1)개화 운동가(1856~1914). 자는 성무(聖武). 호는 구당(矩堂). 일본을 거쳐 미국에서 공부하고 돌아와 김홍집 내각의 내무대신이 되었다가 아관파천 후 일본에 망명, 다시 귀국하여 교육과 계몽 운동에 헌신하였다. 저서로 ≪서유견문≫, ≪대한문전≫ 따위가 있다.
  • 고보 : (1)고려 중기의 충신(?∼1126). 지녹연(智祿延), 오탁(吳卓) 등과 함께 이자겸 일파를 제거하려다 실패하였다. 실패 후 산속으로 숨었으나 박영(朴永)이 잡으러 오자 바위에서 뛰어내려 죽었다.
  • 조병 : (1)독립운동가(1862~1931). 자는 유평(幼平). 호는 국동(菊東).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유인석 휘하에서 평안도 의병장으로 일본군과 싸웠으며, 만주에서 항일 투쟁을 계속하다가 병사하였다.
  • 계주 : (1)중국 주(周)나라 때에, 제례에 쓰는 술을 담던 큰 술잔.
  • 신경 : (1)조선 영조 때의 문신ㆍ실학자(1712~1781). 자는 순민(舜民). 호는 여암(旅菴). 동국여지도(東國輿地圖)를 완성하여 조선 팔도의 산천 도리(道里)를 밝혔으며, ≪훈민정음운해≫를 저술하여 한글의 과학적 연구ㆍ발전에 공헌하였다.
  • 안동 : (1)조선 말기의 문신(?~1875). 대원군의 심복으로 대일(對日) 외교를 맡았다. 1873년에 대원군이 거세되자, 귀양살이를 하다가 세자 책봉 문제를 비난하는 글을 써서 1875년에 동래에서 처형되었다.
  • 피마 : (1)산수화 준법의 하나. 위에서 아래로 길게 긋는 방식으로, 마치 베의 올을 풀어 놓은 듯하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 절대 : (1)산수화 준법의 하나. ‘ㄱ’ 자 모양으로 그리는 동양화 기법으로, 지층이 갈라져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모양을 그릴 때 사용한다.
  • 해조 : (1)산수화 준법의 하나. 나뭇가지를 게의 발처럼 보이도록 그려 나무의 앙상함을 나타낸다.
  • 난시 : (1)산수화를 그릴 때 사용하는 준법의 하나. 땔감용 나무를 흩어 놓은 것처럼 그린다.
  • 우모 : (1)곡선의 바위나 무성한 산림을 소의 털처럼 짧고 가느다란 선으로 그리는 준법. 중국 원나라 말기의 왕몽이 사용했다.
  • 강명 : (1)조선 고종 때의 군인ㆍ포수(砲手)(1849~1882). 임오군란 때에 김춘영(金春永), 유복만(柳卜萬) 등과 같이 선혜청을 습격하였다가 체포되어 참형을 당하였다.
  • 전봉 : (1)조선 후기 동학 농민 운동의 지도자(1855~1895). 초명ㆍ자는 명숙(明叔). 호는 해몽(海夢). 고부 군수 조병갑의 수탈에 항거하여 동학 농민 운동을 일으켜 맹위를 떨쳤으나, 관군과 일본군에게 패하여 이듬해에 처형되었다.
  • 탄와 : (1)산수화 준법 가운데 하나. 소용돌이 치는 모양으로 그리는 동양화 기법으로, 울퉁불퉁한 산을 그릴 때 사용한다.
  • 운두 : (1)산수화 준법의 하나. 산을 마치 구름이 피어오르는 듯한 모습으로 표현한다.
  • 이태 : (1)소설가(1904~?). 호는 상허(尙虛). 내관적(內觀的)인 인물 성격 묘사로 토착적인 생활의 단면을 부각하고, 완결된 구성법을 사용하여 한국 현대 소설의 기법적인 바탕을 이룩하였다. 8ㆍ15 광복 이후 월북하였으며 작품에 <그림자>, <까마귀>, <복덕방> 따위가 있다.
  • 우점 : (1)수묵 산수화를 그릴 때 사용하는 준법의 하나. 산악ㆍ암석 따위의 입체감을 표현하기 위하여 가는 붓으로 치밀하게 그린다.
  • 대연 : (1)발해의 왕자(?~?). 815년에 당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 김원 : (1)고려 시대의 문신(?~?). 고종 45년(1258)에 유치(柳) 등과 함께 최의(崔竩)의 무신 정권을 타도하여 왕권을 회복하고 추밀원 부사가 되었다. 덕망이 높았으나 강윤소(康允紹), 임연의 탄핵으로 잡혀 죽었다.
  • 기계 : (1)교정을 마친 인쇄물을 인쇄판에 올려 인쇄하기 전에 시험 인쇄를 하여 마지막으로 보는 교정.
  • 김현 : (1)농구 선수(1960~1999). 1980년대 경쟁팀인 현대 전자의 이충희와 함께 대한민국 농구를 대표하는 양대 슈터로 활약하였다. 이 선수의 등 번호인 10번은 서울 삼성 썬더스에서 영구 결번으로 남아 있다.
  • 대장 : (1)신문이나 대형 인쇄면을 조판한 뒤에 박아 낸 대장에 대하여 교정을 보아 놓은 종이를 가지고 다시 대어 보는 교정.
  • 이종 : (1)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1499). 자는 중균(仲鈞). 호는 용재(慵齋)ㆍ용헌(傭軒)ㆍ부휴자(浮休子)ㆍ상우당(尙友堂)ㆍ태정일민(太庭逸民)ㆍ장육거사(藏六居士). 김종직의 문인으로, 의성 현령(縣令) 때 <경상도 지도>를 제작하였다. 시문과 서화에 뛰어났으며, 무오사화 때 처형되었다. 저서에 ≪용재유고≫가 있다.
  • 정조 : (1)정확하고 정밀한 조준.
  • 이규 : (1)조선 고종 때의 의학자(1855~1923). 자는 숙현(叔玄). 호는 석곡(石谷). 특히 경상도 일대에서 명의로 이름을 떨쳤으며, 자음강화법(滋陰降火法)을 배척하고, 부양론(扶陽論)을 제창하였다. 저술에 ≪의감중마(醫鑑重磨)≫, ≪소문대요≫ 따위가 있다.
  • 백남 : (1)비디오 아티스트(1932~2006). 작곡가이자 동시에 비디오 아티스트의 선구자로 1960년대 플럭서스(Fluxus) 운동의 대표적인 예술가이다. 조작된 텔레비전 스크린들을 이용한 설치 미술 작품으로 유명하다.
  • 미점 : (1)산수화 준법의 하나. 쌀알 모양의 점을 여러 개 찍어서 그리는 동양화 기법으로. 안개 낀 산수나 온화한 풍경을 그릴 때 많이 사용한다. 점의 크기에 따라 대미법과 소미법으로 나뉜다.
  • 반두 : (1)산수화 준법의 하나. 백반 덩어리처럼 그리는 동양화 기법으로, 침식이 심한 산봉우리나 암석의 모서리를 그릴 때 사용된다.
  • 김시 : (1)조선 후기의 학자(?~?). 자는 평중(平仲). 호는 의인재(依仁齋). 양역법(良役法)을 고치고자 하는 조정의 물음에 정전법(井田法)의 시행을 건의하여 영조의 총애를 받기도 하였다. 저서에 ≪강역연의(講易衍義)≫, ≪효학통의(孝學通義)≫ 따위가 있다.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04개) : 자, 작, 잔, 잘, 잙, 잠, 잡, 잣, 장, 잩, 잫, 재, 잭, 잰, 잴, 잼, 잽, 쟁, 쟈, 쟉, 쟐, 쟛, 쟤, 저, 적, 전, 젇, 절, 젉, 점, 접, 젓, 정, 젖, 젙, 제, 젠, 젤, 젬, 젯, 젱, 져, 젹, 젼, 졈, 졍, 졎, 조, 족, 존, 졸, 좀, 좁, 좃, 종, 좆, 좋, 좌, 좍, 좔, 좕, 좨, 좩, 좬, 죄, 죈, 죠, 주, 죽, 준, 줄, 줅, 줌, 중, 줴, 줸, 쥐, 쥔, 쥠, 쥥, 쥬, 쥭, 즈, 즉, 즌, 즐, 즑, 즘, 즙, 즛, 증, 지, 직, 진, 짇, 질, 짉, 짐, 집, 짓 ...

실전 끝말 잇기

준으로 시작하는 단어 (782개) : 준, 준가, 준가구, 준가금류, 준가로축 배치, 준가얼 분지, 준가하다, 준각, 준간선 관거, 준간접 조명, 준갈이, 준갈이부, 준감하다, 준강간, 준강간죄, 준강도, 준강도죄, 준강력분, 준강성 효율적 시장, 준강요죄, 준강자성, 준강자성체, 준강제 추행죄, 준강형 효율성, 준거, 준거 가격, 준거 기준, 준거되다, 준거래, 준거법 ...
준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782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준으로 끝나는 세 글자 단어는 57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